 |
(자료제공=글로벌텍) |
국내 산학공동 연구팀이 세계 최초로 OCR(Optical Clear Resin, 액상형 고분자 접착제)을 이용한 직접 본딩(Direct Bonding) 장비를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
TFT-LCD 장비 제작 전문 업체인 글로벌텍㈜(대표 김수현)과 단국대학교 디스플레이공학과 연구팀(한관영교수, 임성규교수)은 OCR을 사용해 구부러진 OLED(Bended OLED) 패널과 구부러진 윈도우커버(Bended window Cover)를 접착하는 라미네이터 장비를 개발했다고 15일 밝혔다.
신규 개발 장비는 기판 접합 방식과 접착재료 단가의 단점을 개선하기 위해 개발 됐다.
기존에는 윈도우커버에 OCA필름(접착용 양면테이프)을 부착하는데, 윈도우 커버 글래스(Window Cover Glass)가 구부러져 있는 경우 엣지(Edge, 양모서리) 부분 접착 공정에서 불량이 발생하곤 했다. 또한 이 때 사용하는 접착재료인 OCA의 가격이 OCR에 비해 월등히 높고, 100% 수입해야 한다는 것도 문제점 중 하나였다.
하지만 이번 신규 장비의 개발로 앞으로 OCA가 아닌 액상형 고분자 접착제인 OCR을 사용하게 될 경우 OLED공정에서의 원가절감 효과가 나타날 것으로 기대된다. 특수노즐을 설계 및 제작하며 기존 접착 공정 중에 발생하는 불량으로 인한 생산성 저하를 극복할 수 있게 된 것도 주목할 만한 점이다.
연구팀 측은 "액상고분자인 접착제가 곡면 기판 접합 시 접착제로 사용될 경우, 공정 취급상 문제가 자주 발생하는 것으로 인식되었으나, 13개월에 걸친 선행개발에서 역발상을 시도한 결과 OCR을 사용하여 구부러진 윈도우 커버를 불량 없이 접합하는데 성공했다"며 "이에 따라 모듈 생산원가 개선 및 수입대체 효과도 기대할 수 있게 됐다. 신규 개발 장비는 스마트폰, 태블릿은 물론 Note PC, Monitor용 등 활용 범위가 넓다"고 밝혔다.
현재 글로벌텍과 단국대학교 디스플레이공학과는 개발 중 습득한 핵심기술을 특허로 출원했으며, 이러한 기술력을 토대로 'Bended Flexible Display용 라미네이터를 보다 발전시켜 글로벌 OLED 모듈장비 부문 진출의 초석을 다지겠다는 포부다.
cskim@dt.co.kr
<출처:디지털타임스> |